열린 교육을 통하여 개성과 창조적 능력을 발휘 할 수 있는 사람
A.I. 다각적 연구 프로그램 (1학년)
목적
- 단위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로 탄력적인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할 수 있게 되어, 17단위 중 1단위를 학교가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이는 생기부의 “개인세부능력 및 특기사항”에 담임교사가 기록한다.
교육활동 추진방향
- 주제 융합형 프로젝트 활동으로 진행한다.
- 학생 주도형 활동으로 학생들에게 주제 융합형 프로젝트 과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은 이에 따라 개별 및 그룹 활동을 진행한다.
- 학생들은 다양한 소주제에 대한 개별 및 그룹 연구를 실시하여 만들어 낸 결과물을 담당 교사에게 점검 받는다.
- 일련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조별 신문을 제작한 후 이를 엮어 하나의 학급별 프로젝트를 완성한다.
세부추진 계획
- 인공지능의 상용화 수준 및 기본 개념을 정립함.
- 4~5명씩 조를 편성하여 다양한 교과목과 결합한 소주제들을 학생들이 직접 선정하고 역할을 분담한 후 연구를 수행함.
-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조별 신문을 제작함.
- 과목별 연구 주제에 따라 일련의 신문들을 제작한 후, 이를 엮어 최종 조별 신문을 완성함.
- 조별 신문 최종본을 한 페이지씩 휴대폰으로 스캔 후 인터넷에 업로드하여, 조별로 학급 친구들에게 자신의 모둠 신문을 설명함.
- 모든 발표 완료 후 학급 복도에 신문을 전시하여 학급별로 다양한 결과물을 둘러봄.
과목명 | 내용 |
---|---|
영어 | 챗GPT가 영어로 번역한 한국 가요 가사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|
음악 | AI 작곡가에 의해 작곡된 곡에 사용된 화성 연구 |
윤리 | 로봇 ‘소피아’를 통해 바라본 AI로봇 진화에 대한 윤리적 고찰 |
과학 | 딥러닝 기술의 기초 연구 |
기대효과
- 인공지능이 미래사회에서 해결하게 될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를 예측하고, 사회적 문제 해결에서 인공지능의 역할을 제시할 수 있다.
- 인공지능에 대한 이애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.
- 인공지능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지능을 가진 프로그램의 원리를 습득하여 실생활뿐만 아니라 자신의 학문 분야에 알맞게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.
- 정보망이 구축된 교실에서 학생들이 학습에 필요한 정보 즉,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이나 웹자료를 직접 검색하거나 각종 포털 사이트를 탐색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,
- 인터넷이나 통신을 통하여 개인이 스스로 원하는 정보를 탐색, 분석, 종합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터넷, 서버 등 각종 멀티미디어 정보를 찾아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.